subvisual


107. 사회복지개론(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2학점
사회복지학의 기초적인 개념을 소개하고 그 연구방법을 검토한다. 또한 다양한 생활의 부조화양상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대응방법을 개략적으로 소개한다.

110. 현대사회복지의 이해(Introduction to Contemporary Social Welfare System) 2학점
사회복지 연구의 기본적 과목으로 현대사회복지 이론의 기본개념에 대한 일반적 이해를 기초로 하여 사회복지 체계의 다양한 형태와 그 기능들을 사회문화 및 정치, 경제적 측면에서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11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3학점
인간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발달과정에 따른 성장과 사회환경과의 역동적인 관계를 고찰하고 이들 이론을 통해 부조화적인 행동의 원인과 해결방법을 연구한다.

113. 사회복지조사론(Research Methods in Social Welfare) 3학점
조사설계의 이론적 배경, 관찰, 면접, 질문서, 사례연구 등의 자료수집, 척도의 기술과 구성, 자료수집 등의 과정의 연구 및 실습을 통하여 공공정책 전공자들이 사회조사 전반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습득하도록 한다.

114. 사회복지행정론(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3학점
사회복지행정은 사회서비스 전달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즉, 사회복지행정은 정책을 프로그램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사회복지에 대한 욕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사회복지 조직 또한 거대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과목에서는 사회복지기관의 특성과 행정의 필요성을 연구해보고 사회복지 행정가의 과업 등에 관해 토론해 본다.

123. 지역사회복지론(Community Welfare & Practice) 3학점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를 위해 지역사회조직의 이론을 연구하고 그 실태를 고찰하며 지역사회 조정자로서 사회복지 기관의 운영, 조직을 검토한다.

124. 사회복지법제론(Social Welfare and Law) 3학점
실천이론으로서 사회복지는 그 구현에 있어서 기존의 법질서 및 체계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다. 이 과목에서는 이론적 개발에 못지않게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실천의 준거틀인 법체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사회복지 실천인으로서의 기본소양을 갖추도록 하는데 있다.

125. 사회복지정책론(Social Welfare Policy) 3학점
서구에서 사회복지 정책이 산업화 과정에서의 자리매김을 연구하고, 역사적, 사회적 변동에 따라서 어떻게 대응해 왔는가를 검토한다. 특히 1945년 이후 한국 사회복지정책의 성격과 그 발달을 연구한다.

126. 사회복지실천론(Theories of Social Work Practice) 3학점
한국 사회복지체계의 이해를 기초로 하여 제도의 운영 및 적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체적인 문제를 분석하여 사회복지사의 실천에 있어 사회복지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127. 사회복지실천기술론(Skills and Techniques for Social Work Practice) 3학점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성에 대한 이해와 이러한 전문성을 뒷받침하는 주요 실천모델과 개입기술을 습득한다. 특히 사회복지실천의 대상이 되는 개인, 가족, 집단, 지역사회의 특성과 욕구를 이해하며 사례연구 및 역할연습을 통해 실천기술과 기법, 상담, 관찰, 기록 등을 실천대상에게 적용하고 평가하는 방법을 익힌다.

132. 사회복지 현장실습(Social Work Practicum) 3학점
사회복지에 관하여 지금까지 학습한 이론과 지식을 현장에서 실습을 통하여 몸에 익히는 과정이다. 실습을 위해 필요한 이론적 점검과 예비지식의 습득을 실시하는 한편, 사회복지 기관 현장에서 소정의 실습활동을 수행한다.

209. 사회보장론(Social Security) 3학점
사회보장 제도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각국의 예를 통하여 검토하여 각국 제도의 장단점을 포괄적으로 다룬다. 이 과정에서 각 지역이 지니고 있는 역사적 특수성과 사회이념과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221. 복지국가론 (Theory of Welfare State)  3학점
복지국가의 성립과 발전과정을 고찰하고, 현대 복지국가의 제이론을 학습한다. 이러한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다양한 복지국가 및 복지자본주의 모형을 분석한다.

232. 사회문제론(Social Problems) 2학점
정치, 경제, 종교, 가족 등 거시적 차원에서 제도적 문제와 미시적 차원의 구체적인 일탈 현상을 한국의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 분석한다.

237. 사회복지자료분석론(Data Analysis for Social Welfare) 3학점
수량을 다루는 기본적 관념에서부터 각종 필수적 통계기법에 이르기까지 친근한 사례를 최대로 활용하면서 컴퓨터와 접목시킬 수 있는 실용성에 주안점을 두어 습득한다.

242. 자원봉사론(Volunteer Management) 2학점
시민사회의 형성과 발전, NGO활동의 모태가 되는 자원봉사 정신 및 철학과 유래, 가치 등을 체득하고 시민사회공동체의 기초적 형성요소, 비전 설정과정과 시민운동의 현실적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효과적이며 체계적인 자원봉사의 관리 이론과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324. 산업복지론(Industrial Social Welfare) 2학점
산업사회의 구성과 유지에 필수적인 산업복지의 실천이론과 적용기법을 소개하고 유럽의 사회보장제도의 특성과 한국의 산업복지 정책의 과제와 전망, 일본의 산업복지 시책의 특성과 산업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기법 등을 체계적으로 살펴본다. 특히 산업사회에 필요한 사회복지의 원리와 방법, 기술 등을 현장에 적용하여 21세기의 이상적인 산업복지학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325. 노인복지론(Social Work with the Elderly) 2학점
산업사회의 발달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급격히 늘어난 노령인구가 야기하게 된 사회적 문제와 그들의 심리적 문제를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경험적 연구결과를 토론한다.

330. 가족복지론(Social Work with Families) 2학점
가족은 사회의 가장 기초적인 집단으로서 전통적으로 사회성원들의 복지의 많은 부분을 담당해 온 공동체이다. 가족이 오늘날의 사회복지에서 수행할 수 있는 역할을 중심으로 다른 제도들과의 관계, 전통에서 오는 차이 등 제반사항을 고려해 넣는 진단과 처방을 도출해 본다.

331. 청소년복지론(Social Welfare with Adolescents) 2학점
청소년기의 일반적 특성과 사회집단으로서의 이들 집단의 특성이 시대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연구, 검토하면서 청소년 문제에 대한 사회복지체계의 형성 및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337. 장애인복지론(Social Welfare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2학점
장애인 복지 강화의 당위성에 대한 인식이 널리 확산되고 있는 것에 비례하여 그에 대한 수용도 상승하고 있다. 장애인 상황의 공통점과 일반, 정신, 산업장애인들의 특수성에 대한 섬세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장애인 복지정책 및 장애인 복지사업의 주된 면모들을 살핀 후 그 환경적, 예방적, 재활적 분위기들을 검토한다.

340. 사회복지발달사(History of Social Welfare) 2학점
서구가 산업화과정에서 나타난 사회문제에 직면해서 사회복지가 어떻게 변화 발전해 왔는가를 검토하고, 여기에 한국의 사회복지제도와 복지사를 미래지향적으로 연구한다.

341. 아동복지론(Child Welfare) 2학점
아동과 가족에 대한 분석적 이해를 바탕으로 아동과 가족문제에 대한 분석, 지도지원활동을 위한 이론과 방법, 기술을 다룬다.

342. 여성복지론(Social Welfare for Women) 2학점
여성의 건강, 사회활동, 경제활동의 특성을 이해하고, 여성들의 복지향상을 위한 지원활동에 필요한 제도적 문제를 파악하며, 문제해결의 방안들을 강의한다.

346. 의료사회사업론(Social Work in Health Care) 2학점
의료는 사회복지가 구현되는 중요한 영역의 하나이다. 제도적으로도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의료 부문 사회복지 활동의 제 측면을 다룬다. 의료의 사회적 면모에 대한 세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의료보장 및 보험, 일반의료사회사업, 정신의료사회사업, 재활의료사회사업, 지역보건사회사업 등 의료부문에서 사회복지사가 간여해야 될 주된 사업들에 관한 논의를 전개한다.

349. 학교사회사업론(Social Welfare in Schools) 2학점
학교교육은 사회사업의 시행 및 강화가 시급히 요청되는 영역의 하나로서 특히 학교교육을 둘러싸고 각종의 사회적인 문제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우리의 현실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학교 및 학생들이 처해있는 물리적, 심리적, 사회적 환경에 대한 보살핌을 통하여 개개인의 잠재력이 최대로 계발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하여는 사회사업이 어떤 일을 할 수 있고, 어떻게 수행되어야 하는지 알아본다.

355. 프로그램개발과 평가(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3학점
사회복지의 구체적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과 평가를 수행하는 과정이다. 사회복지의 이론과 개념들은 구체적 프로그램을 통하여 실현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개발 및 평가의 과정을 수행해 보는 것은 효과적인 사회복지 서비스의 밑거름이 된다.

356. 정신보건 사회복지론(Social Work in Mental Health) 2학점
과거 의료환경에서 주로 다루어졌던 정신건강분야 치료의 효과성 증대, 비용절감, 클라이언트의 권익보호 등의 이유로 해서 치료환경이 대폭 지역사회 정신건강체계로 일괄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치료 접근법과 사회사업가의 역할을 연구한다. 또한 정신건강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문제의 대처를 위해 이론과 기법을 연구함으로써 주민 정신건강 모형을 도모한다.

357. 알코올과 약물(Alcohol and Drug) 2학점
음주와 약물중독으로 인하여 기본적인 사회기능 역할에 장애를 가져오는 문제를 진단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사회, 심리적 대응책을 강구하는 데 필요한 지식, 이론 및 기법을 학습한다.

358. 교정복지(Correction Social Welfare) 2학점
교정복지는 사회의 규범이나 법으로부터 일탈된 개인을 돕는 데 있어서의 사회복지사의 책임과 역할을 교육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359. 사회복지 지도감독론(Social Work Supervision) 3학점
사회사업 감독과정과 관련된 기본이론 및 방법을 조사한다. 감독자의 기능, 학습, 감독자와 사회복지사의 관계, 감독과 기관 행정의 관계, 감독자의 책임 등에 관해서 연구한다.

360. 사례관리론(Case Management in Social Work Practice) 3학점
사례관리론은 개념정의, 역사, 모델소개, 실천과정, 사례관리자의 역할, 직접 개입과 수퍼비젼 기술을 포함하는 임상적 방법을 습득하는 훈련과 더불어, 구조 즉 사례관리를 위한 체계구축과 팀워크와 네트워크 기술 등을 포함하는 행정적 기술과 방법 등에 초점을 두고 교육과 훈련이 이루어지게 된다.

365. 사회복지윤리와 철학(Social Work Ethics and Philosophy) 3학점
사회복지정책을 수립하고 실시하는 데 개재되는 철학적 고려사항은 무엇이며 어떠한 쟁점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사회복지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윤리적 원칙들을 습득한다.

366. 사회복지와 문화다양성(Social Welfare and Multiculturalism) 3학점
다문화사회의 특성과 사회복지에 대한 도전요인을 이해하고, 다문화 사회복지 이론을 학습한다.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 사회 및 다문화 가족에 대한 사회복지실천.행정.정책적 차원의 개입방법을 연구한다.

370. 상담심리학(Psychology of Counseling) 2학점

일상생활에서 당면하는 여러문제에 대한 해결력과 적응력을 길러주는데 필요한 개인상담 및 집단상담의 이론과 기법을 탐구한다.


371. 상담의 이론과 실제(Theory Practice of Counseling) 2학점

상담의 제 이론을 학습하고 그 적용방법을 탐구한다. 이를 위하여 여러 상담이론이 사회복지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그리고 상담의 실제과정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연습한다.


372. 복지상담연습(Welfare Counseling Practice) 2학점

복지상담의 실제 과정을 이해하고 실제 사례를 통한 상담기술을 연습한다.


373. 가족상담 및 치료(Family Counseling and Therapy) 3학점

가족치료의 제이론과 모형들을 이해한 후 사회복지 실천분야와 복지상담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가족치료와 과정과 전략, 가족상담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374. 폭력과 복지상담(Welfare Counseling for Violence Issues) 2학점

성폭력, 가정폭력, 학대, 비행 등 폭력관련 문제들에 대한 이론과 관련 복지제도를 학습하고, 폭력문제에서 어려움을 겪는 개인과 집단을 위한 상담기법의 활용을 모색한다.


410. 개별연구 I(Independent Study I) 2학점

420. 개별연구 II(Independent Study II) 2학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