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정치전공
북한정치와 관련된 제반현상의 분석능력을 고양시키는 것이 전공분야의 목표이다. 북한 공산 화 과정을 사상, 문화, 제도등의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북한정치 권력구조 및 주요정 책등을 국제환경 및 대내적 정치환경과 관련시켜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북한정치 론, 북한사회론, 북한문화론, 북한정치사, 북한헌법과 통치구조, 한국공산주의운동사, 조선노 동당연구, 북한원전강독 등이 전공과련 과목이다.
* 북한경제전공
북한경제현황 및 당면 경제문제를 분석하고 앞으로 전개될 경제환경을 분석할 수 있는 능력 을 고양시키는 것이 이 전공분야의 목표이다.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특성, 경제구조, 경제현황, 산업활동 등을 정치·사회현상과 상호 관련지어 이해하기 위해서 북한경제 론, 북한사회론, 북 한의 산업구조, 북한의 대외무역, 남북한 경제협력론등의 기본과목 뿐만아니라 북한정치, 북 한문화를 취급하는 과목의 수강을 필요로 한다. 특히 자본주의 경제체제와 비교할 수 있는 능 력을 배양하기 위해 경제와 관련된 일반 이론의 습득을 아울러 필요로 한다.
* 통일정책전공
구소련·동구 사회주의권의 변화 및 동서독 통일과 더불어 남북통일에 관한 분위기가 고조되 고 있는 상황하에서 남북한간의 상호전략, 군비경쟁 또는 축소 대화·교류·교역, 통일정책등 에 관한 이전의 역사와 앞으로의 전망을 검토·분석하는 것이 이 전공분야의 목표이다. 남북한 통일정책비교, 통일한반도의 미래상, 남북한 경제협력론, 통일과 정론, 독일통일연구, 동북아 국제질서와 통일외교, 북한체제의 개혁·개방등이 전공관련과목이다. 북한정치론, 북한경제론, 북한사회론등은 북한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위한 기초과목이다.
* 북한특수영역전공
이 전공은 김일성·김정일연구, 북한군사문제, 북한의 대남전략, 북한문학 및 예술분야, 언어정 책등 북한과 관련된 특수주제를 전공대상으로 하게 된다. 전공학생이 지금까지의 관심과 연구 해온 분야를 토대로 북한과 관련된 특정주제를 체계적으로 다룰 수 있는 전공영역이다. 북한 군사문제의 경우 군사정책, 군사전략, 대남전략, 군사능력, 군수산업과 군사비, 핵문제, 군축 등 다양한 주제가 전공대상이 될 수 있으며, 북한문학의 경우 소설·시·극등 장르별 연구도 가 능하며 특정작품의 분석도 전공주제가 될 수 있다. 이 전공영역학생은 특수주제를 다룰 수 있 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북한과 관련된 기타 과목의 이수를 필요로 한다.